“이렇게까지 하면 안털릴 수가 없잖아!!” 갈수록 교묘해지는 스미싱사기! 링크 눌렀을 땐 이것부터 해야한다고

2019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스미싱 사기만 무려 4,300건이 넘고 피해액은 100억 원이 넘는다고 합니다.

보통 이런 뉴스를 접하면 난 절대 안 속는다고 장담하지만 스미싱 사기 수법또한 나날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걸려들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요즘 폭증하는 스미싱 사기 수법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휴대폰을 이용한 사기 수법은 아차하는 순간에 당하게 됩니다. 궁금증을 유발하는 문자를 보내서 열어보게 만드는 수법 때문인데요.

문자 메시지를 누르는 순간 악성 코드가 휴대폰에 설치돼 사기꾼들이 원격 조작으로 휴대폰에 있는 내 정보가 다 털리는 것은 물론이고 금융 정보까지 싹 털리고 돈을 빼갑니다.

그런데 돈도 없으니 괜찮다고 생각하신다면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나도 모르게 내 명의로 대출을 받아서 가로 채는 수법도 있기 때문입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스매싱 사가에 당하는 연령대로 50대가 26.8% 가장 많은 피해를 보고 있으며 60대 이상도 15.9%나 됩니다.

최근에는 부고와 결혼을 한다는 청첩장을 보내면서 첨부된 링크을 누르도록 유도하는데요, 특히 부고 소식을 위장한 스미싱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합니다.

첨부된 URL을 누르는 순간 자동으로 악성 앱과 안드로이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 파일이 설치됩니다. 충격적인 것은 악성 앱이 설치되면 내 휴대 전화 주소록에 저장된 다른 사람까지 악성 앱에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다시 말해 나는 스미싱이 의심되는 문자 URL을 누르지 않았어도 내 번호를 저장해 둔 지인이나 가족이 스미싱 URL 눌러서 악성 앱이 설치되었다면 나한테까지 스미싱 문자가 전송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경찰에 따르면 원격 제어를 통해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가 유출될 수 있고 전화번호 후에 등록된 지인들에게까지 가짜 부고 문자나 청첩장이 전달될 수 있다고 하니 더욱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장 대표적인 피해가 택배 사기라고 하는데요. 택배가 왔는데 주소 불일치로 보관 중이다 또는 잘못된 주소로 반송 처리해야 하니 즉시 수정해 달라는 문자에 속아서 눌렀다가 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입니다.

최근에는 국민연금 공단을 사칭하는 수법도 등장했다고 하는데요, 국민연금 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 복리 후생 수당 지급 통지서 또는 국민연금 수급 자격 인정 통지서 같은 내용의 스미싱문자가 많이 발생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별히 자신한테 국민연금 공단에서 연락 올 일이 없는데, 이런 문자를 받았다면 열어보거나 접속하지 말고 국민연금 고객센터나 가까운 지사에 꼭 확인부터 해보시는것이 중요합니다.

실수로 링크를 눌렀을 때 대처방법

그런데 아차하는 순간에 실수로 이미 링크를 눌렀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링크를 눌렀다면 제일 먼저 해야 될 것이 있는데요,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할 것은 휴대폰을 비행기 모드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비행기 모드로 변경해야 휴대폰 전파가 차단돼 정보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설치된 미확인 앱이나 파일 악성 코드를 점검하고 빠르게 초기화를 시켜야 하는데요.

초기화는 휴대전화 서비스 센터를 방문해서 악성코드를 점검하고 공장 초기화시켜 달라고 요청하면 됩니다.

그런데 비행기 모드로 변경도 못 했고 서비스 센터도 못 갈 상황이라면 이럴때는 사용 중인 통신사 고객센터에 빨리 전화를 해서 소액 결제부터 차단해 달라고 요청하고 돈이 들어 있는 통장의 은행 고객 센터에 전화를 해서 지급 정지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은행에 스미싱 문자를 클릭 했다고 얘기하면 지급 정지와 입금 정지까지 시킵니다. 입금 정지를 시키는 이유는 대포 통장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또한 인터넷 뱅킹도 차단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 공인 인증서까지 변경하는것이 좋습니다.

이 모든 대처는 문자를 누른 후 골든 타임인 30분 안에 처리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해주시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문자에 있는 링크를 누르지 않는 것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